복지소식/복지이슈

「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」 발표

복지로 2021. 8. 18. 14:08

 -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(5.3%→4.6%) 감소,

 - 1인당 주거면적 증가(32.9m2→33.9m2),

 - 공공임대주택 만족도 상승(93.5%→94.4%),

 - PIR: 5.4배→5.5배, RIR: 16.1%→16.6% 상승

 

□ 국토교통부(장관 노형욱)는 국토연구원(원장 강현수)에 의뢰하여 지난해 7~12월

표본 5.1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.

 

□ 2020년은 주거복지로드맵(’17.11, ’20,3), 신혼부부·청년 주거지원 방안(’18.7) 등

지속적인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, 국민 주거의 질적 측면이 개선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.

 

 ㅇ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이 ’19년 5.3%에서 ‘20년 4.6%로 감소하고,

1인당 주거면적은 ’19년 32.9m2에서 ‘20년 33.9m2로 증가하였습니다.

 

 ㅇ 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의 만족도는 ’19년 93.5%에서 ’20년 94.4%로 개선되었고,

전체 가구 중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이 있는 가구도 ’19년 33.9%에서 ’20년 35.6%로 증가하였습니다.

□ 다만, 2020년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해로, 경기 침체 대응을 위한 전세계적인 초저금리 기조* 등으로

집값과 임대료가 높아지며 PIR, RIR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.

   * 한은 기준금리 : (’20.1) 1.25% → (’20.3) 0.75% → (’20.5∼) 0.5%미국(연준) 기준금리 : (’20.1) 1.75% → (’20.3) 1.25% → (’20.3∼) 0.25%

 

 ㅇ 자가가구의 PIR(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)은 5.5배(중위수)로 ’19년 5.4배 대비 증가하고,

임차가구의 RIR(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)도 16.6%(중위수)로 ‘19년 16.1% 대비 증가하였다.

 

□ 또한, 그 간 지속적인 주택 공급*에도 불구하고, 역대 최고 수준의 가구분화**로 인해 자가점유율은 57.9%로

전년(58.0%)과 유사한 수준이나, 자가보유율은 ’19년 61.2%에서 ’20년 60.6%로 감소하였습니다.

   * 전체주택 입주물량 : (’19) 51.8만호, (’20) 47.1만호 (과거 10년 평균 46.9만호)

  ** 가구수 증가분(단위: 가구) : (’18)30.5만 → (‘19)36.4만 → (’20)58.4만(인구주택총조사)

 

 ㅇ 다만, ’21년 들어 공급 선행지표인 아파트 인허가·착공 실적*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, 그 동안 발표한 공급대책

(5.6, 8.4, 2.4대책 등)을 통해 충분한 물량이 추가 공급**될 예정이므로, 자가보유율이 점차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
   * ’21년 상반기 전국 아파트 인허가 실적 : 전국 17.1만호(과거 10년 대비 9% 증가)착공 실적 : 전국 20만호(과거 10년 대비 40% 증가)

  ** 주택공급 전망 : (전국) ’21∼’30년 연평균 56.3만호(과거 10년 대비 20% 증가)(수도권) ’21∼’30년 연평균 31.4만호(과거 10년 대비 34.2% 증가)

 

□ 앞으로도 정부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그 간 발표한 공급대책 등의 신속한 추진과

’25년까지 장기 공공임대주택 재고 240만호 확보(재고율 10%)를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입니다.

 

 ㅇ 공공임대주택은 중형평형(전용 60~85㎡)을 도입하고, 품질 혁신 및 맞춤형 주거서비스를 제공하여 더욱 매력적인

삶터로 조성하고, 주거급여 확대, 비주택 거주자 주거상향 사업 확대 등으로 더욱 촘촘한 주거 안전망을 구축해나갈 계획입니다.

 

1. 주거 안정성

 

□ (자가점유율) 자가에 ‘거주’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57.9%로 ‘19년(58.0%)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습니다.

 

 ㅇ 지역별로 도지역은 소폭 상승, 수도권 및 광역시는 소폭 감소하였으나, 대체로 전년과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.

   * (수도권) 50.0% → 49.8% , (광역시 등) 60.4 → 60.1, (도지역) 68.8 → 69.2

 

□ (자가보유율) 자가를 ‘보유’한 가구는 60.6%로, 도지역에서는 상승하고, 수도권 및 광역시 등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  * (수도권) 54.1% → 53.0%, (광역시 등) 62.8 → 62.2, (도지역) 71.2 → 71.4

 ※ ’20년 주거실태조사는 인구주택총조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5.1만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이나, 

  - 올해 하반기 중 약 420만 가구(전체가구의 20%)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구주택총조사(표본조사)에서 보다 정확도 높은 점유형태 조사 결과를 발표할

    예정이므로, ’20년 주거실태조사에서는 점유형태를 미발표

 

2. 주거비 부담

 

□(PIR) ’20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(Price Income Ratio)는 전국 5.5배(중위수)로,

‘19년(5.4배)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ㅇ 지역별로 수도권이 8.0배, 광역시 등은 6.0배, 도지역은 3.9배로, 모든 지역에서 PIR이 전년 대비 모두 상승하였습니다. 

   * 중위수(배) : (전국) 5.4→5.5, (수도권) 6.8→8.0, (광역시 등) 5.5→6.0, (도지역) 3.6→3.9

  ** 평균(배) : (전국) 6.8→7.3, (수도권) 9.0→9.6, (광역시 등) 6.2→6.8, (도지역) 4.3→4.5

 

□(RIR) ’20년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은 전국 16.6%(중위수)로 '19년(16.1%)에 비해 소폭 증가했으나,

지역별(중위수)로는 수도권(18.6%), 광역시 등(15.1%)은 전년 대비 감소, 도지역(12.7%)은 전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  * 데이터의 중간값을 의미하는 중위수 특성 상, 일정 값에 데이터가 몰려있는 경우 부분의 중위수는 감소하더라도 전체의 중위수는 증가할 수 있음

  ** 중위수(%) : (전국) 16.1→ 16.6, (수도권) 20.0→18.6, (광역시 등) 16.3→15.1, (도지역) 12.7→12.7

       평균(%) : (전국) 21.3→ 20.9, (수도권) 24.6→23.7, (광역시 등) 17.7→17.9, (도지역) 14.6→14.6  

 

□ (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) ‘20년은 7.7년으로 ’19년(6.9년) 대비 상승하였습니다.

 

<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(년)>

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
소요연수 6.7 6.8 7.1 6.9 7.7

 

3. 주거이동 및 주택보유의식

 

□ (평균 거주기간) ’20년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.6년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ㅇ 점유형태별로는 자가가구는 10.6년, 임차가구는 3.2년을 거주하여 전년과 유사했으며,

지역별로는 도지역(10.0년), 광역시 등(7.4년), 수도권(6.1년) 순으로 평균 거주기간이 길었습니다.  

 

□ (주거이동률)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가구 중 37.2%이며,

자가가구는 20.7%, 임차가구는 62.1%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ㅇ 지역별로 보면, 수도권(41.9%)에서 광역시 등(36.1%), 도지역(30.5%)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 이동이 잦았습니다.

 

□ (이사이유)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한 결과,

‘시설이나 설비 상향’(48.3%), ‘직주근접(29.7%)’, ‘주택마련을 위해(28.3%)’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<현재 주택으로 이사한 이유(복수응답, %)>

시설이나 설비가 더 양호한 집으로 이사하려고 : 48.3
직주근접(직장, 학교 등), 직장변동(취직·전근 등) 때문에 : 29.7
이미 분양받은 주택(내 집)으로 이사 또는 내 집(자가주택) 마련을 위해 : 28.3
가구상황(가구원수 증가 또는 감소 등)에 적합한 주택규모로 이사하려고 : 21.6
교통이 편리하고, 편의·문화시설, 공원 및 녹지 등이 좋은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 : 19.4
계약 만기로 인해서 : 17.7
집값 혹은 집세가 너무 비싸고 부담스러워서 : 10.3
부모, 자녀 등과 가까이 살려고(손자녀 양육, 부모님 케어 등) : 7.5
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인해서 : 3.7
자녀 양육 및 교육환경 때문에 : 3.0
집주인이 나가라고 해서 : 3.0
귀촌귀농 등 자연환경이 좋은 지역을 찾아서 : 2.9
결혼이나 세대독립을 위해서 : 2.1
기타 : 2.4

 

4. 주거수준 및 만족도

 

□ (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)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‘14년 이후 5%대를 유지하다, ‘20년은 4.6%로 감소하였습니다.

 

□ (1인당 주거면적) 1인당 주거면적은 ’17년 이후로 매년 증가하여 ‘20년 33.9m2로 ’19년 32.9m2 대비 증가하였습니다.

   * 주거면적은 2017년부터 공동주택에 한하여 행정자료를 활용하였으며, 기존 조사대상자의 응답에 의한 주거면적보다 작게 나타남

 

□ (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) 주택과 주거환경 만족도는 ‘20년 각각 3.00점, 2.97점으로 상승 추세에 있으며, 

 

 ㅇ 지역별로는 광역시 등에서 주택과 주거환경 만족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습니다.

 

5. 주거지원 정책수요 및 평가

 

□ (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) 전체가구 중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40.6%로,

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‘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(34.6%)’, ‘전세자금 대출지원(24.5%)’,

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(11.6%)‘ 등을 응답하였습니다.

 

 ㅇ 점유형태별로 보면, 자가가구는 ‘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(57.6%)’, 전세가구는 ‘전세자금 대출지원(37.3%)’,

월세가구는 ‘월세보조금 지원(33.8%)’을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응답하였습니다.

 

□ (공공임대주택 만족도)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94.4%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여,

’19년(93.5%) 대비 만족도가 상승하였습니다.

 

 ㅇ만족하는 이유로는 ‘저렴한 임대료(49.2%)’, ‘자주 이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(38.3%)’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<'20년 공공임대주택 만족도(%)>

구분 만족하는 이유 비중
1위 저렴한 임대료 49.2
2위 자주 이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38.3
3위 시설이나 주변여건이 좋아서 8.6
4위 가구상황(가구원수 증가 또는 감소 등)에 적합한 주택규모 3.9

 

□ (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) ’20년 전체 가구의 35.6%가 공공임대주택 입주 기회가 있으면 입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여,

전년(33.9%)  대비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이 있는 응답자가 증가하였습니다.

 

 ㅇ 점유형태별로는 월세거주 가구가 68.6%로 가장 높은 의향을 보였으며,

전세가구는 54.3%, 자가가구는 17.4%로 나타났습니다.

 

6. 특성가구별 주거실태

 

< ① 청년가구 > 

  * 청년기본법에 따라 청년가구를 가구주의 연령이 만20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가구에서 만19세에서 만34세 이하인 가구로 변경

 

□ (주거안정성) 청년 가구는 1인 가구(61.9%)가 많고, 주거이동률(82.2%)이 일반가구 및 다른 특성가구에 비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.

   * (주거이동률) 청년 82.2%, 신혼부부 66.5%, 일반 37.2%, 고령 14.7%

 

 ㅇ 청년 가구는 단독주택(38.8%)과 아파트(33.9%)에 주로 거주하며, 일반가구 및 다른 특성가구에 비해 오피스텔 등 주택이외의 거처(13.4%)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  * (주택이외 거처) 청년 13.4%, 신혼부부 1.8%, 일반 4.8%, 고령 1.7%

 

□ (주거비) 청년 임차가구의 RIR은 16.8%로, ’19년(17.7%) 대비 감소하였으나, 자가가구의 PIR은 5.5배로

’19년(5.0배) 대비 증가하였습니다.

 

□ (주거수준) 청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은 7.5%로, ’19년 9.0% 대비 감소하였으며,

1인당 주거면적도 ’19년 27.9㎡에서 ’20년 30.9㎡로 증가하여 주거 수준이 향상되었습니다.

   * 지하·반지하·옥탑 거주 가구 비중은 ’20년 2.0%로 ’19년 1.9% 대비 소폭 증가

 

□(정책수요)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‘전세자금 대출지원(39.1%)’, ‘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(23.4%)’,

‘월세보조금 지원(16.3%)’ 순으로 응답하였습니다.

 

< 청년가구 주거실태 >

 

구분 주거
이동률
주거비(중위수) 주거수준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
임차
RIR
자가 
PIR
최저주거
미달가구
1인당 
면적
1위 2위
청년 '19 81.6% 17.7% 5.0배 9.0% 27.9㎡ 전세대출
(39.0%)
구입자금
(24.2%)
'20 82.2% 16.8% 5.5배 7.5% 30.9㎡ 전세대출
(39.1%)
구입자금
(24.4%)
일반 37.2% 16.6% 5.5배 4.6% 33.9㎡ 구입자금
(34.6%)
전세대출
(24.5%)

 

< ② 신혼부부가구 > 

  * 신혼부부가구란 혼인한지 7년 이하인 가구를 말함

 

□ (주거안정성) 신혼부부 가구의 46.1%는 자가에 거주하고 있으며,

신혼가구 대부분은 아파트(75.1%)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  * (자가점유율) 신혼부부 46.1%, 청년 16.1%, 일반 57.9%, 고령 75.4%(신혼부부 주택유형) 아파트 75.1%, 단독주택 12.4%, 다세대주택 8.6%, 그 외 3.9%

 

 ㅇ 신혼부부·생애최초 특별공급 등으로 신혼부부는 일반가구 및 다른 특성가구 대비 자가마련 방법 중

‘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’ 비율*이 29.8%로 높으며, 전년대비 증가(26.3→29.8%)하였습니다.

   * (자가마련 방법 중 ‘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’ 비율) 신혼부부 29.8%, 청년 24.6%, 고령 15.8%, 일반 21.7%

 

□ (주거비) 자가가구는 PIR이 전년 대비 상승(5.2→5.6배)하였으나, 

 

 ㅇ 임차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월임대료보다 더 상승하여 RIR이 전년 대비 감소(20.2→18.4%)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□ (주거수준) 신혼부부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’19년 3.9%에서 ’20년 1.9%로 감소하고,

1인당 주거면적도 ‘19년 24.6㎡에서 ‘20년 26.9㎡로 증가하는 등 주거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.

   * 지하·반지하·옥탑 거주 가구 비중은 ’20년 0.3%로 ’19년 0.5% 대비 감소

 

□ (정책수요)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‘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(48.6%)’, ‘전세자금 대출지원(28.2%)’ 순으로 응답하였습니다.

 

<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>

구분 주거
이동률
주거비(중위수) 주거수준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
임차
RIR
자가 
PIR
최저주거
미달가구
1인당 
면적
1위 2위
신혼
부부
'19 61.9% 20.2% 5.2배 3.9% 24.6㎡ 구입자금
(47.1%)
전세대출
(28.0%)
'20 66.5% 18.4% 5.6배 1.9% 26.9㎡ 구입자금
(48.6%)
전세대출
(28.2%)
일반 37.2% 16.6% 5.5배 4.6% 33.9㎡ 구입자금
(34.6%)
전세대출
(24.5%)

 

< ③ 고령가구 > 

  * 고령가구란 가구주의 연령이 만65세 이상인 가구를 말함

 

□ (주거안정성) 고령가구는 75.4%가 자가에 거주하고 있으며, 주거이동률은 14.7%로 낮아

다른 계층에 비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  * (자가점유율) 고령 75.4%, 일반 57.9%, 신혼부부 46.1%, 청년 16.1%(주거이동률) 고령 14.7%, 일반 37.2%, 신혼부부 66.5%, 청년 82.2%

 

 ㅇ 거주 주택 유형별로는 수도권에서는 아파트(50.9%)가 가장 많으나, 수도권 외에서는 단독주택(58.0%)이 가장 많아

지역별 차이를 보였습니다.

 

□ (주거비) 고령가구는 월 평균 소득이 적어(186.8만원) 자가가구의 PIR(9.7배) 및 임차가구의 RIR(29.9%)이 일반가구 대비 높으나, 

   * (일반가구) 월평균 소득 328.1, PIR 5.5, RIR 16.6

 

 ㅇ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비율은 45.8%로, 일반가구(63.9%)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□ (주거수준) 고령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’19년 3.9%에서 ’20년 3.4%로 감소했으나,

1인당 주거면적은 45.2㎡로 전년(45.3㎡)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□ (정책수요)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‘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(24.7%)’, ‘개량·개보수(21.8%)’ 순으로 응답하였습니다.

 

< 고령가구 주거실태 >

구분 주거
이동률
주거비(중위수) 주거수준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
임차
RIR
자가 
PIR
최저주거
미달가구
1인당 
면적
1위 2위
고령 '19 13.8% 29.6% 8.4배 3.9% 45.3㎡ 개량·개보수
(26.5%)
구입자금
(18.2%)
'20 14.7% 29.9% 9.7배 3.4% 45.2㎡ 구입자금
(24.7%)
개량·개보수
(21.8%)
일반 37.2% 16.6% 5.5배 4.6% 33.9㎡ 구입자금
(34.6%)
전세대출
(24.5%)

 

7. 주거실태조사 개요 및 자료 공개

 

□ 국토교통부는 국민들의 주거환경과 주거이동,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

2006년부터 주거실태조사(일반가구)를 격년단위로 실시해 왔으며, 2017년부터는 보다 적시성 있는 정책수립을 위해

매년 주거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

 

 ㅇ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.1만 가구를 대상으로

`20년 7~12월까지 1:1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.

 

 ㅇ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으며, 비대면조사를 희망하는 응답자에 한해 전화조사도 병행하였습니다.

 

□ 「2020년 주거실태조사」에 대한 연구보고서는 8.13일부터 국토교통 통계누리(www.stat.molit..go.kr)에,

마이크로데이터는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정보제공 시스템(www.mdis.go.kr)에 품질점검을 거친 후 9월 말 공개할 예정입니다.

 

등록일: 2021-08-13

 

출처: 국토교통부

 

▼ 자세한 내용이 궁금하다면? 

 

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바로가기

 

 

▼ 또 다른 복지로를 소개합니다